금융당국이 펫보험 활성화 방안을 조만간 내놓기로 했다. 반려동물 관련 진료와 등록체계 인프라 구축, 보험업계와 수의업계 제휴 협력 강화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28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반려동물 헬스케어 산업과 보험의 역할 강화 세미나에서 “정부가 펫보험 활성화를 국정과제로 선정한 만큼 펫보험 활성화 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각계에서 검토·연구된 펫보험 활성화 과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반려동물 규모는 약 800만마리로 '팬데믹 퍼피'라는 말이 생길 만큼 코로나19 확산 후 증가속도가 빨라져서다.
이에 반려동물 고령화, 의료기술 발달 등으로 의료비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반려동물 보험시장도 꾸준히 커지고 있는데, 지난해 펫보험료 수입은 287억5000만원으로 2년새 37% 늘었다. 하지만 펫보험 가입률이 약 1% 내외로 낮은 상태다. 반려동물 진료항목·등록제 관련 인프라가 아직 부족해 보험상품 개발에도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펫보험 활성화를 위해 관련 정부부처와 보험연구원, 보험개발원, 수의사회, 반려동물경제인협회, 소비자단체와 TF를 운영 중이다.
관련해서 김 부위원장은 “반려동물 등록률과 유효성을 높이고 진료항목 체계 등 개선을 위해 관계부처,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차수환 금감원 부원장보도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 펫보험 상품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펫보험 가입·보험금 청구 등 과정에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소비자 편의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이번 세미나 발표와 논의사항을 토대로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기관 간 협력을 통한 반려동물 등록·진료항목 관련 인프라 개선 ▲수의업계와 보험업계의 제휴 등에 기반한 협력체계 구축 등을 펫보험 활성화 방안에 담을 예정이다. 중기이코노미 신지아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