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맞춤’ 중기 인력난 해소 프로그램 마련을

수도권으로 쏠리는 청년들…실효성 있는 정책 있어야 

 

경제활동인구 중 청년층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비수도권 제조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맞춤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IBK경제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중소기업 인력난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는, 제조업은 전 산업 대비 인력부족률이 높은 업종으로 정부는 올해 제조업을 구인난이 심각한 6대 업종으로 지정했다고 소개하고, 청년 인력 유출이 많은 비수도권의 청년 구인난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2021년 기준 제조 중소기업의 39세 인력 비중은 28.2%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2%에 비해 하락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수도권으로의 청년층 인력 유출이 심각하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전체 경제활동인구는 2019년 대비 2022년에 2.6% 증가했는데, 39세 이하는 수도권의 경우 0.5%가 증가한 반면 광역특별자치시도 및 지방 소도시는 각각 6.2%, 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인력난비수도권 심각=제조 중소기업의 인력부족률은 2022년 1분기에 2010년 이후 처음으로 5%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이후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다.

IBK경제연구소가 제조업 중소기업 258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구직자들의 생산직 기피로 생산차질 등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54.9%에 달했다. 이들 기업은 외국인 인력을 활용하거나 설비자동화를 통해 대응(45.1%)하고 있었으며,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18.1%였다.

경제활동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비수도권의 인력난은 더욱 심각해졌다. 제조 중소기업 중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수도권이 58.8%, 비수도권이 70% 수준이었다.

비수도권에서는 50% 이상이 외국인 인력을 활용해 인력난에 대응한다고 답했으며, 수도권 제조 중소기업은 34.4%가 외국인 인력을 활용한다고 답했다.

특히 지방 소도시 제조 중소기업 중 5곳중 1곳은 해소되지 않고 있는 인력난의 원인이 ‘실효성 없는 정부 정책’이라고 응답했다.

지역별 맞춤형 프로그램 필요해=보고서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실효성 있는 정책이 요구되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부가 비전문 외국인력 11만명의 신속입국을 추진하고, 전국 48개 신속취업지원TF에서 채용 대행 등 ‘빈일자리해소방안’을 발표했지만, 중소기업 현장에서의 체감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제조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치단체가 지역 산업특성에 맞게 설계한 일자리 사업에 중앙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인 지역형플러스 사업을 확대하고 지역 맞춤형 지원을 늘리는 방안도 제안했다. 중기이코노미 채민선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