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가경쟁·동반진출…수출시장에서 안 통한다

대한상의, 코로나19 이후 수출시장 격변 분석 

 

미국·남미시장으로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는 A사는 “최근 해외거래처가 거래선을 현지 로컬기업으로 대체하면서 일부 품목의 수출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아직 그 비중이 작다면서도, “이러한 기조가 점차 심화될 것으로 보여 전사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산의 철강업체 B사는 “지난 몇 년간 중국 경쟁업체의 기술수준이 크게 올랐고, 어떤 부분에서는 우리의 기술수준을 뛰어넘었다”면서, “중국 내수시장에 들어가려면 관세 7%를 감당해야 하는데 가격도, 기술도 경쟁력이 모두 없어진 상태”라고 우려했다. 

31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국의 수출 제조업체 1222개사를 대상으로 6월 중 ‘코로나 사태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출시장의 변화가 뚜렷하게 감지됐다.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과 올해 상반기의 수출실적을 비교했을 때, 수출물량이 감소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36.3%로 3분의 1을 넘어섰다. 반면 증가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5곳 중 1곳인 20.2% 수준이었다. 변화 없다는 응답은 43.5%였다. 

◇수요부진에 가격경쟁, 수출규제까지=수출감소 품목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 중에서는 기존 거래처의 물량 감소를 요인으로 꼽은 기업이 64.1%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중국 등을 중심으로 발생한 수요부진이 수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이다. 

이어서 가격에서 경쟁사에 밀렸다(24.0%), 수출국의 정책과 규제(14.4%) 등 변화한 수출환경의 영향을 받은 기업들이 많았다. 코로나19 이전부터 시작된 가격경쟁의 심화와 보호무역 경향이 최근까지 이어지면서 수출을 제약한 것이다. 

이 밖에 폐업·이전 등 현지 거래처 사정(11.1%), 현지생산으로 대체(9.2%), 수익성 낮아 수출 중단·축소(7.8%), 일방적으로 중단통보해 이유 모름(5.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로 수출이 증가한 기업들은 적극적인 해외영업 활동(34.0%)을 가장 큰 증가요인으로 꼽았다. 코로나로 수출시장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선제적인 마케팅이 주효했다는 것이다. 

이어서 기존 거래처의 물량 증가(28.0%), 새로운 수출제품 개발(27.8%), 고위기술 우위 확보(25.8%), 단가인하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18.9%), 국내 거래처의 해외진출(7.3%) 순으로 응답했다. 

대한상의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미한 중국 리오프닝 효과 등 무역환경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현지 마케팅과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신제품, 고위기술 제품을 전면에 내세운 수출기업들은 좋은 성과를 내고 있었다”며 “과거 수출방식이었던 중간재의 단가경쟁이나 모기업과의 동반진출 등은 더이상 수출시장에서 먹히기 힘든 방식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중수출 급감, 미국시장도 경쟁 격화=수출이 감소했거나 증가한 대상국가를 보면, 최근의 대중수출 감소추세는 물론 미국시장에서의 경쟁 격화도 확인할 수 있다. 

수출이 감소한 품목의 대상국가로 가장 많이 꼽힌 곳은 중국(39.4%)이었으며, 이어서 미국(21.0%), 아세안(15.2%), 일본(14.3%), EU(14.1%) 순으로 조사됐다.

미국의 경우 수출이 증가한 품목의 대상국가에서도 29.0%로 가장 많이 꼽혔다. 수출 증가와 감소 모두가 많다는 점에서, 미국시장에서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우리 기업들이 적극적 해외마케팅, 신제품 개발 등으로 수출확대를 위해 애쓰고 있지만, 경쟁사의 저가공세, 자국산 선호경향, 보호무역주의 등에 맞서려면 결국 수출전략을 대대적으로 바꿀 수밖에 없다”며, “일부 국가로 편중돼 있는 수출대상국을 다변화하고, 중간재 중심에서 수입선 대체가 어려운 소비재와 첨단분야 고위기술 제품 중심으로 수출품목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이제는 민과 관이 함께 작은 수출시장까지 맞춤형으로 개척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기이코노미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