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온라인쇼핑 확산…국내 유통업 위기감 고조

저렴한 가격에 소비자들은 이미 ‘알리’와 ‘테무’에 빠져있는데 

 

중국 온라인플랫폼을 이용한 해외직구 쇼핑족이 늘어나면서, 국내 유통기업들의 위기의식도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500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8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중국 온라인플랫폼의 국내 진출 확대가 국내 유통시장이나 유통업체에 위협적이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업체의 69.4%가 그렇다고 답했다. 보통은 23.6%였고, 그렇지 않다는 7.0%에 그쳤다. 

또 응답업체의 74.4%는 중국 온라인플랫폼의 국내 진출 확대가 국내 유통시장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그렇지 않다는 전망은 5.0%에 불과했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온라인쇼핑 10개중 6개 업체(59.1%)가 영향이 있다고 밝혔다. 온라인쇼핑 업계 이외에 대형마트(56.7%)와 슈퍼마켓(48.9%) 업태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다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이는 최근 중국 온라인플랫폼이 한국제품까지 취급하기 시작하면서 이들 업태도 위기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온라인플랫폼의 국내 진출 확대에 따른 대응과 관련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대응하고 싶지만 마땅한 대응방안을 찾을 수 없다는 응답이 27.2%에 달했고, 현재는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있지 않다(35.8%)거나, 상황을 주시하면서 향후 대응 여부를 결정할 것(29.2%)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소비자들은 이미 ‘알리’와 테무에 빠져있는데

국내 유통업계가 이처럼 경계감을 가지게 된 이유는, 소비자들이 이미 중국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해외직구 쇼핑에 푹 빠져있기 때문이다. 

대한상의가 최근 1년 이내에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용하는 이유(복수응답)로 응답자의 93.1%가 제품 가격이 저렴해서라고 밝혔다. 이어서 다양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어서(43.5%), 득템하는 쇼핑 재미가 있어서(33.8%), 할인혜택이 많아서(30.6%) 순이었다. 

이용 구매빈도는 월 1회(58.9%)나 2회(19.5%)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어서 3~4회(15.5%), 5회 이상(6.1%) 순이었다. 1회 이용시 평균 4.2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구매 품목(복수응답)으로는 생활용품(53.8%), 의류(40.1%), 스포츠·레저(33.1%), 가방지갑 및 잡화(32.8%), 컴퓨터 및 주변기기(27.4%), 가전·전자·통신기기(25.9%), 신발류(14.4%)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동일·유사한 제품과 비교해, 중국 온라인쇼핑 플랫폼의 판매가격 수준에 대해서는 50% 더 저렴하다는 응답이 37.8%로 가장 많았다. 또 70% 더 저렴(31.5%), 90% 더 저렴(7.1%) 등을 모두 합치면 반값 이하라는 응답이 10명 중 7명(76.4%)에 달했다. 

“소비자 보호, 공정한 시장 경쟁환경 선행돼야”

향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56.6% 수준이었다. 반반(37%)과 의향 없음(6.4%)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응답자의 10명 중 8명(80.9%)은 이용에 불만이 있으며, 피해를 경험한 적도 있다고 답한 사실에 주목했다. 

세부적인 불만이나 피해사항으로 10명 중 6명(59.5%)은 배송 지연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낮은 품질(49.6%), 제품 불량(36.6%), 과대 광고(33.5%), AS 지연(28.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피해예방이나 해결책(복수응답)에 대해서는 국가간 소비자 피해해결을 위한 공조 협력시스템 구축 강화라는 응답이 56.9%로 가장 많았다. 또 피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피해 사례정보 제공(49.5%), 피해 정보공개 등 모니터링 강화(48.9%), 국내 관련부처간 협력 공조시스템 강화(37.4%), 국내 통관 강화(31.8%) 등의 의견이 있었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 “중국 온라인쇼핑 플랫폼은 국내 소비자의 구매 선택권을 넓혀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소비자 보호와 공정한 시장 경쟁환경 조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중기이코노미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